목적
로컬 폴더를 Github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는 방법
1. 연결하려는 로컬 폴더로 이동 후 Git 생성
$> git init
2. 그냥 상태 확인
$> git status
※그냥 상태 확인이라 사진은 생략했습니다.
3. Git 저장소에 올리기
$> git add .
4. Git 커밋
$> git commit -m "first commit"
1. commit 명령어를 입력하면 'fatal: unable ~' 에러 메세지 발생
2. 아래 명령어 2개로 config 파일에 이메일과 이름을 등록합니다.
(에러 메세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2번을 생략해주세요. 이미 등록된 상태이므로 할 필요 없습니다.)
$>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abcd@gmail.com"
$>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HongGilDong"
※이메일과 이름은 자신의 것으로 변경해주세요.
3. 다시 $> git commig -m "first commit" 명령어를 입력하면 정상 작동합니다.
5. Git repository 생성 후 해당 주소 clone
※Github repository 만드는 법은 생략하였습니다.
인터넷 참고해주세요~
6. Git 원격 저장소 연결
$> git remote add <저장소 별칭> <Git repository clone 주소>
EX) $> git remote add repo-test https://github.com/MyGit/project_test.git
※참고로 return 메세지는 없습니다. 위 사진과 같이 나오면 정상.
※명령어와 사진이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.
7. Git 원격 저장소 연결
$> git push <저장소 별칭> --all
EX) $> git push repo-test --all
8. Git 원격 저장소 확인
※master branch로 변경하면 commit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merge 충돌 방지 테스트 (0) | 2022.04.09 |
---|---|
[Github] commit 로그 분석 (0) | 2022.04.04 |
[Github] fetch, merge 로컬 저장소에 업데이트 방법 (0) | 2022.04.04 |
[Github] 빈 폴더 or 특정 폴더 commit 방법 (0) | 2022.03.29 |
[Github] jekyll 테마 적용 (0) | 2022.01.12 |